엄마의 성경묵상

역대상(1 Chronicles)18:1-17(다윗 왕궁의 안정)

미류맘 2025. 6. 18. 07:56
728x90

다윗의 주변국 정복(블레셋, 모압, 시리아)이 이어지고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을 예루살렘으로 가져옵니다. 이방민족들은 다윗에게 선물을 보내고 다윗은 그것을 여호와께 바칩니다. 그리고 다윗의 공의로운 행정이 설명됩니다.

 

역대상 18:1-8. 다윗의 주변국 정복

1. After this it came to pass that David attacked the Philistines, subdued them, and took Gath and its towns from the hand of the Philistines.

2. Then he defeated Moab, and the Moabites became David’s servants, and brought tribute.

3. And David defeated Hadadezer king of Zobah as far as Hamath, as he went to establish his power by the River Euphrates.

4. David took from him one thousand chariots, seven thousand horsemen, and twenty thousand foot soldiers. Also David hamstrung all the chariot horses, except that he spared enough of them for one hundred chariots.

5. When the Syrians of Damascus came to help Hadadezer king of Zobah, David killed twenty-two thousand of the Syrians.

6. Then David put garrisons in Syria of Damascus; and the Syrians became David’s servants, and brought tribute. So the LORD preserved David wherever he went.

7. And David took the shields of gold that were on the servants of Hadadezer, and brought them to Jerusalem.

8. Also from Tibhath and from Chun, cities of Hadadezer, David brought a large amount of bronze, with which Solomon made the bronze Sea, the pillars, and the articles of bronze.

 

다윗의 승전 기록

 

1 그 후에 다윗이 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항복을 받고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가드와 그 동네를 빼앗고
2 또 모압을 치매 모압 사람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치니라
3 ○소바 왕 하닷에셀이 유브라데 강 가에서 자기 세력을 펴고자 하매 다윗이 그를 쳐서 하맛까지 이르고
4 다윗이 그에게서 병거 천 대와 기병 칠천 명과 보병 이만 명을 빼앗고 다윗이 그 병거 백 대의 말들만 남기고 그 외의 병거의 말은 다 발의 힘줄을 끊었더니
5 다메섹 아람 사람이 소바 왕 하닷에셀을 도우러 온지라 다윗이 아람 사람 이만 이천 명을 죽이고
6 다윗이 다메섹 아람에 수비대를 두매 아람 사람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치니라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여호와께서 이기게 하시니라
7 다윗이 하닷에셀의 신하들이 가진 금 방패를 빼앗아 예루살렘으로 가져오고
8 또 하닷에셀의 성읍 디브핫과 군에서 심히 많은 놋을 빼앗았더니 솔로몬이 그것으로 놋대야와 기둥과 놋그릇들을 만들었더라

 

(개인번역) 1. 그 후 다윗이 블레셋 사람들을 공격하여 그들을 굴복시켰다. 그래서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서 가드와 그 주변 마을들을 빼앗았다. 2. 또한 다윗은 모압을 쳐서 모압 사람들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쳤다. 3. 소바 왕 하다데셀이 유프라테스 강 가에서 그의 세력을 확장하려고 할 때, 다윗이 하맛까지 가서 그를 무찔렀다. 4. 다윗은 그에게서 전차 천 대를 빼앗고, 기병 칠천 명과 보병 이만 명을 포로로 사로잡았다. 다윗은 또 병거를 이끄는 백 대의 말들은 남겨두고, 그 외의 병거의 말은 다 발의 힘줄을 끊어 버렸다. 5. 다마스쿠스의 시리아 사람들이 소바 왕 하다데셀을 도우러 왔을 때, 다윗은 시리아 사람 이만 이천 명을 죽였다. 6. 그리고 다윗은 다마스쿠스 시리아에 수비대를 두어, 시리아 사람들이 다윗의 종이 되어 조공을 바쳤다. 이처럼 여호와께서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그를 지켜 주셨다. 7. 다윗은 하다데셀의 신하들이 가지고 있던 금 방패들을 빼앗아 예루살렘으로 가져왔다. 8. 또한 다윗은 하닷에셀의 성읍 디브핫과 군에서 많은 양의 청동을 빼았아 왔다. 솔로몬은 이 청동으로 놋대야와 기둥과 여러 놋 기구들을 만들었다.

 

1. 블레셋을 굴복시킴 (1절)

  • 다윗은 오랫동안 이스라엘을 괴롭혀온 블레셋을 공격하고 정복함.
  • 가드까지 탈환, 하나님 백성이 빼앗긴 땅을 다시 찾기 시작함.
  • 다윗은 이전 패배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을 멸시하듯 승리함.
  • 600명의 기드 사람들이 다윗을 따랐다는 기록이 정복의 증거.

2. 모압을 굴복시키고 조공을 받음 (2절)

  • 모압을 정복하고 조공을 받음.
  • 다윗의 증조모 룻이 모압 사람이라는 점에서 다소 놀라운 처사.
  • 다윗이 부모를 모압에 맡겼던 과거가 있었으나, 모압이 부모를 학대했을 가능성 있음.
  • 하나님은 주변 모든 민족을 멸망시키기보다는 이스라엘의 힘을 인정하고 조공을 바치게 하심.

3. 시리아 동맹국을 정복 (3–8절)

  • 다윗은 유프라테스 강까지 세력을 확장함.
  • 이는 아브라함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창세기 15:18)의 성취.
  • 소바와 다메섹(시리아)의 동맹도 무력화됨.
  • 말의 뒷다리를 절단한 것은 군사적 필요 때문이며, 말에 의존하지 않고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의 표현.
  • 전쟁에서 얻은 금 방패와 청동을 예루살렘으로 가져옴.
  • 이 청동은 후에 솔로몬이 성전 건축에 사용할 청동 바다, 기둥 등의 재료가 됨.

  • 다윗의 승리는 단순한 군사 정복이 아닌, 성전 건축 준비와 연관됨.
  • 역대기는 사무엘서보다 다윗 언약과 성전 준비에 초점을 맞춤.
  • 다윗은 성전을 직접 짓지는 못했지만, 그 기반인 재정과 안보를 마련함.
  • “준비의 사역”에 헌신하는 것도 진정한 헌신의 표현이라는 교훈.

다윗은 주변 강대국들을 정복하고 조공을 받아 이스라엘 왕국을 강대하게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성전 건축을 위한 안전과 자원을 준비하였다. 직접 성전을 짓지는 못했지만, 하나님께 대한 헌신으로 준비하는 사역에 충실했다.


(1-8절) 다윗의 주변국 정복이 시작됩니다. 이스라엘을 오랫동안 괴롭혀 온 블레셋을 공격하고(1절), 모압을 굴복시키고 조공을 받습니다(2절). 유프라테스 강까지 세력을 확장한 다윗은 시리아 동맹국도 정복합니다. 그리고 전쟁에서 얻은 금 방패와 청동은 이후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할 때 사용될 재료가 됩니다. 

 

<다윗의 확장된 영토>, 이미지 소스: https://www.2belikechrist.com/

 

이처럼 다윗의 승리는 단순한 군사적 정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전 건축 준비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윗은 자신이 성전을 직접 짓지는 못했지만 이 이야기를 통해 그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역대상 18:9-13. 다윗 왕국의 영광과 안정

9. Now when Tou king of Hamath heard that David had defeated all the army of Hadadezer king of Zobah,

10. he sent Hadoram his son to King David, to greet him and bless him, because he had fought against Hadadezer and defeated him (for Hadadezer had been at war with Tou); and Hadoram brought with him all kinds of articles of gold, silver, and bronze.

11. King David also dedicated these to the LORD, along with the silver and gold that he had brought from all these nations; from Edom, from Moab, from the people of Ammon, from the Philistines, and from Amalek.

12. Moreover Abishai the son of Zeruiah killed eighteen thousand Edomites in the Valley of Salt.

13. He also put garrisons in Edom, and all the Edomites became David’s servants. And the LORD preserved David wherever he went.


9 ○하맛 왕 도우가 다윗이 소바 왕 하닷에셀의 온 군대를 쳐서 무찔렀다 함을 듣고
10 그의 아들 하도람을 보내서 다윗 왕에게 문안하고 축복하게 하니 이는 하닷에셀이 벌써 도우와 맞서 여러 번 전쟁이 있던 터에 다윗이 하닷에셀을 쳐서 무찔렀음이라 하도람이 금과 은과 놋의 여러 가지 그릇을 가져온지라
11 다윗 왕이 그것도 여호와께 드리되 에돔과 모압과 암몬 자손과 블레셋 사람들과 아말렉 등 모든 이방 민족에게서 빼앗아 온 은금과 함께 하여 드리니라
12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소금 골짜기에서 에돔 사람 만 팔천 명을 쳐죽인지라
13 다윗이 에돔에 수비대를 두매 에돔 사람이 다 다윗의 종이 되니라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여호와께서 이기게 하셨더라

 

(개인번역) 9. 하맛 왕 도우가 다윗이 소바 왕 하닷에셀의 온 군대를 무찔렀다는 소식을 듣고, 10. 자기 아들 하도람을 다윗 왕에게 보내어 안부를 전하고 축복하였다. 이는 다윗이 하닷에셀을 쳐서 무찔렀기 때문이었다 (하닷에셀은 도우와 전쟁을 하였다). 하도람은 금, 은, 놋으로 된 여러 가지 그릇을 가져왔다. 11. 다윗 왕은 이 모든 것을 여호와께 드렸다. 그는 또한 에돔, 모압, 암몬 자손, 블레셋 사람, 아말렉 사람들에게서 가져온 은과 금도 여호와께 바쳤다. 12.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소금 골짜기에서 에돔 사람 만팔천 명을 죽였다. 13. 다윗은 에돔에 수비대를 두었고, 모든 에돔 사람들은 다윗의 종이 되었다. 다윗이  어디를 가든지 여호와께서 그를 지켜 주셨다.

 

a. 이방 나라들의 경의 (9-10절)

  • **두왕(Tou)**이 아들 **하도람(Hadoram)**을 보내 다윗에게 경의와 선물을 전함.
    • 주변 국가들은 하나님의 손이 다윗과 함께함을 인식했고, 이는 이스라엘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 유익하다고 여김.
    • 모든 이방 민족이 적대적인 것은 아니며, 다윗도 그들을 적으로 대하지 않음.

b. 다윗의 겸손한 헌신 (11절)

  • 다윗은 외국으로부터 받은 선물과 영예를 하나님께 바침.
    • 성공도 실패도 하나님께 맡기는 신앙의 자세를 보임.

c. 사방의 적을 제압 (12절) 

  • 다윗은 에돔, 모압, 암몬, 블레셋, 아말렉 등 모든 방향의 적을 무찌름.
    • 이로 인해 아브라함에게 약속된 땅(창세기 15:18-21) 대부분을 차지함.
    • 사울과 달리, 하나님의 백성과 싸우지 않고 진정한 적들과 싸운 덕분에 하나님께 쓰임받음.

d. 하나님의 보호 (13절) 

  • 이 모든 승리의 중심에는 하나님의 지속적인 보호와 인도가 있었음.
    • 여호와께서 다윗이 어디로 가든지 이기게 하셨다”는 것이 이 장의 핵심 요약.

다윗은 이방 민족의 존경을 받았고, 모든 승리와 영광을 하나님께 돌렸으며, 사방의 적을 정복하고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했다. 그의 모든 성공은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의 결과였다.


(9-13절) 주변국가들을 향한 다윗의 승리를 본 이방민족들은 다윗에게 경의를 표하고 선물을 보냅니다. 그러나 다윗은 승리와 영광을 하나님께 돌리기 위해 전리품을 여호와께 바칩니다. 12절에는 다윗이 무찌른 민족들이 나열됩니다. 그리고 이 모든 승리의 중심에는 하나님의 보호가 있었습니다. 


역대상 18:14-17. 다윗의 행정 체계

14. So David reigned over all Israel, and administered judgment and justice to all his people.

15. Joab the son of Zeruiah was over the army; Jehoshaphat the son of Ahilud was recorder;

16. Zadok the son of Ahitub and Abimelech the son of Abiathar were the priests; Shavsha was the scribe;

17. Benaiah the son of Jehoiada was over the Cherethites and the Pelethites; and David’s sons were chief ministers at the king’s side.

 

14 ○다윗이 온 이스라엘을 다스려 모든 백성에게 정의와 공의를 행할새
15 스루야의 아들 요압은 군대사령관이 되고 아힐룻의 아들 여호사밧은 행정장관이 되고
16 아히둡의 아들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비멜렉은 제사장이 되고 사워사는 서기관이 되고
17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는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을 다스리고 다윗의 아들들은 왕을 모시는 사람들의 우두머리가 되니라

 

(개인번역) 14. 다윗은 온 이스라엘을 다스려 모든 백성에게 정의롭고 공정한 재판을 행하였다. 15. 스루야의 아들 요압은 군사령관이 되고, 아힐룻의 아들 여호사밧은 역사 기록관이 되고, 16. 아히둡의 아들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은 제사장이 되고, 사워사는 서기관이 되고, 17.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는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의 지휘관이 되었다.  다윗의 아들들은 왕을 보좌하는 고위 관료가 되었다.

1. 다윗 통치의 일반적 특징 (v.14)

  • 다윗이 통치함: 이 장은 다윗 시대 이스라엘의 승리, 축복, 번영을 보여주며, 그가 왜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으로 평가받는지를 설명함.
    • 하나님은 원래 사울을 통해 그렇게 하길 원하셨지만, 사울은 하나님의 영을 거부했고, 다윗은 하나님께 복종함으로 민족들을 복종시킬 수 있었음.
  • 공의와 정의를 베풂: 다윗은 외적 정복뿐 아니라 백성을 향해서도 정의로운 통치를 실현함.
    • 이는 정부의 본질적 역할(로마서 13:1-7 참조)을 충실히 수행한 것임.

2. 주요 관리들과 조직적 통치 (v.15-17)

  • 요압, 여호사밧, 사독, 아비멜렉, 사브사, 브나야 등은 다윗의 행정을 담당한 핵심 인물들.
    • 위대한 지도자 혼자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으며, 유능하고 헌신적인 팀이 필수적임.
    • 사울 시대에는 이런 조직적 체계가 없었음 → 다윗 정부는 더 체계적이고 질서 정연했음.
  • 🔑 질서와 조직의 중요성
    • 그리스도인의 삶에서도 질서와 조직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영적 성장의 표현.
    • 하나님의 나라는 겉보기에 무질서해 보여도 보이지 않는 질서와 조직 속에서 움직임.

  • 두 제사장(사독, 아비멜렉): 당시 예루살렘(언약궤)과 기브온(회막) 두 곳에 제사장이 있었음.
  •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 외국 용병(크레타 출신)을 고용해 내부 부족 간 분열 방지 및 왕의 안전을 보장함.

다윗이  어디를 가든지 여호와께서 그를 지켜 주셨다. (대상 18:13, 이미지 소스: https://blog.livinghopemc.org/)

 

(14-17절) 다윗의 행정 체계가 소개됩니다. 다윗은 공의와 정의로 통치를 하였고, 다윗의 행정을 담당한 핵심인물들이 소개됩니다. 현대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아무리 위대한 지도자라도 혼자서는 공의와 정의의 통치를 할 수 없습니다. 그를 도울 유능하고 헌신적인 팀이 필수적입니다.

 

 

BIBLIOGRAPHY:
https://enduringword.com/bible-commentary/1-chronicles-18/
개역개정 아래의 볼드체 성경구절 및 추가로 인용된 성경번역은 NKJV 영어성경에 기반한 저의 개인 번역입니다

(한. 영 성경의 여러 버전을 참고하여 번역한 것으로, 오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구절 위 코멘트 중 존칭어의 텍스트는 저의 개인 멘트이고, 청색 텍스트의 반어체는 인용, 번역 및 수정문구입니다.
인용 중 재인용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습니다 (예: 성경, 외국 학자설
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