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마의 성경묵상

베드로전서(1 Peter) 3:13-22(성도의 고난과 경건한 삶)

by 미류맘 2020. 7. 6.
728x90

베드로는 성도의 의무를 교훈한 후, '성도의 고난'과 '경건한 삶'에 대하여 가르칩니다. 의를 위해 고난을 받는 자는 복되다고 말하면서, 의인인 예수님도 우리와 같은 불의한 자들을 하나님께 인도하기 위해 돌아가셨음을 선언합니다.

 

13.  Now who is he who will harm you, if you become imitators of that which is good?
13.  ○또 너희가 열심으로 선을 행하면 누가 너희를 해하리요

---------------------

13절 "13. 만일 여러분이 늘 선한 일을 행하면 누가 여러분을 해치겠습니까?"

또 너희가 열심으로 선을 행하면 누가 너희를 해하리요 (벧전 3:13)

앞에서 베드로는 성경말씀을 인용하면서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라' 했습니다. 그 이유는 기록된 대로 '주님의 눈과 귀는 의인을 향하고 열려있지만 얼굴은 악인을 외면'하시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선을 행한다면 그 누구도 우리를 해치지 않을 것은 자명합니다. 이유야 어찌되었건 우리가 선을 행하는데 우리에게 침 밷는 사람은 없습니다.

---------------------

14.  But even if you should suffer for righteousness’ sake, you are blessed. “Don’t fear what they fear, neither be troubled.”
15.  But sanctify the Lord God in your hearts; and always be ready to give an answer to everyone who asks you a reason concerning the hope that is in you, with humility and fear:
16.  having a good conscience; that, while you are spoken against as evildoers, they may be disappointed who curse your good way of life in Christ.
17.  For it is better, if it is God’s will, that you suffer for doing well than for doing evil.
18.  Because Christ also suffered for sins once, the righteous for the unrighteous, that he might bring you to God; being put to death in the flesh, but made alive in the spirit;

14.  그러나 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면 복 있는 자니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며 근심하지 말고
15.  너희 마음에 그리스도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 하고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준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하고
16.  선한 양심을 가지라 이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너희의 선행을 욕하는 자들로 그 비방하는 일에 부끄러움을 당하게 하려 함이라
17.  선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이 하나님의 뜻일진대 악을 행함으로 고난 받는 것보다 나으니라
18.  그리스도께서도 단번에 죄를 위하여 죽으사 의인으로서 불의한 자를 대신하셨으니 이는 우리를 하나님 앞으로 인도하려 하심이라 육체로는 죽임을 당하시고 영으로는 살리심을 받으셨으니

---------------------

14-18절 "14. 그러나 정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면 여러분은 복이 있습니다.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흔들리지도 마십시오.' 15. 여러분의 마음에 주 하나님을 거룩하게 모시고, 여러분 안에 있는 소망에 대하여 이유를 묻는 모든 이들에게 대답할 준비를 항상 하되 온유함과 두려움으로 하십시오. 16. 선한 양심을 가지십시오. 그러면 그리스도 안에서 여러분의 선한 생활 행실을 욕하는 사람들이 그 일로 부끄러움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17. 하나님의 뜻이라면 선을 행하기 위해 고난을 받는 것이 악을 행하기 위해 고난을 받는 것보다 낫습니다. 18. 그리스도께서 죄를 사하기 위해 한번 죽으셨습니다. 즉, 의인이 불의한 사람을 위하여 죽으셔서 여러분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려 했습니다. 육으로는 죽임을 당하시고 영으로는 살리심을 받으셨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정의를 위하여 고난을 받는다면 복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뜻이라면 악을 행하기 위한 고난보다 선을 행하기 위한 고난이 낫다고 말합니다. 의인인 예수님도 불의한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셨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우리의 영을 하나님께 인도하시기 위함입니다.

---------------------

19.  in which he also went and preached to the spirits in prison,
20.  who before were disobedient, when God waited patiently in the days of Noah, while the ship was being built. In it, few, that is, eight souls, were saved through water.
21.  This is a symbol of baptism, which now saves you—not the putting away of the filth of the flesh, but the answer of a good conscience toward God,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22.  who is at the right hand of God, having gone into heaven, angels and authorities and powers being made subject to him.

19.  그가 또한 영으로 가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하시니라
20.  그들은 전에 노아의 날 방주를 준비할 동안 하나님이 오래 참고 기다리실 때에 복종하지 아니하던 자들이라 방주에서 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은 자가 몇 명뿐이니 겨우 여덟 명이라
21.  물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세례라 이는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니라
22.  그는 하늘에 오르사 하나님 우편에 계시니 천사들과 권세들과 능력들이 그에게 복종하느니라

---------------------

19-22절 "19. 그는 영으로 가셔서 감옥에 있는 영들에게도 선포하셨습니다. 20. 그 영들은 노아 시대에 방주를 지을 동안에 하나님께서 오래 참고 기다리실 때에 복종하지 않던 자들입니다. 그 안에서 몇 명, 여덟 영혼만이 물로 구원받았습니다. 21. 그 물은 지금 여러분을 구원하는 세례의 상징이니, 이는 육체의 더러움을 씻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서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응답입니다. 22. 그리스도께서는 하늘에 오르셔서 하나님의 오른편에 계시며, 천사와 권세와 능력이 그에게 복종하고 있습니다."

19-20절이 무슨 의미일까요? 19절을 보면 문법적으로 'in which'가 앞의 '영으로는 살리심을 받으셨다'의 'spirit(영)'를 받습니다. 그러면 '그 또한 영으로 가서 감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했다'가 맞습니다. 외국의 성경 해설가의 설명을 읽으니 많은 설교자들이 이 구절을 설명하다가 많이 당한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마틴 루터도 '신약성경의 그 어느 구절보다 더 불명확한 구절이기 때문에 그 자신도 베드로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 해설을 일부 번역.편집합니다. (참조자료: https: sermonwriter.com)

----------------------------------------------------

그런데 사도신경에서는 이 구절에서 힌트를 얻어 '그가 지옥으로 내려갔다'라는 구절을 포함시켰다. 19-20절에서 베드로는 그리스도가 '지옥으로 내려가셨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는 '지옥(hell)'도 '내려갔다(descend)'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리스어로 'phulake'는 지옥이 아닌 감옥이다.  '지옥으로 내려가셨다'라는 구절은 사도신경 원본에는 없었고 수 세기 후에 추가되었다. 오늘날에는 '그가 죽은 자들에게 내려가셨다'라고 대체되었고, 어떤 버전에서는 이 구절이 완전히 누락되었다. 우리는 베드로전서와 베드로후서의 아래 세 구절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 "이를 위하여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으니 이는 육체로는 사람으로 심판을 받으나 영으로는 하나님을 따라 살게 하려 함이라" (벧전 4:6)
  • "그는 하늘에 오르사 하나님 우편에 계시니 천사들과 권세들과 능력들이 그에게 복종하느니라"(벧전 3:22)
  • " 하나님이 범죄한 천사들을 용서하지 아니하시고 지옥(Tartarus=hell)에 던져 어두운 구덩이에 두어 심판 때까지 지키게 하셨으며... 주께서 경건한 자는 시험에서 건지실 줄 아시고 불의한 자는 형벌 아래에 두어 심판 날까지 지키시며" (벧후 2: 4, 9)

여기에서 Tatarus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하며 악인들이 고통받을 땅 아래의 큰 구덩이를 말한다. 20절은 창세기 6:1-4절을 암시한다.

  •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자기들이 좋아하는 모든 여자를 아내로 삼는지라... 사람의 딸들에게로 들어와 자식을 낳았으니... (창 6:1-4)

대부분의 학자들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천사였다고 믿는다. 실제 구약에서 '하나님의 천사(angels of God)'으로 묘사되어 있다. 천사들이 하나님의 뜻에 불복종하여 남자들의 아름다운 딸들과 짝짖기를 위해 육체의 형태를 취했을 수 있다. 악한 천사들이 그들의 불순종으로 감옥에 갇혔다는 말도 있다. 이러한 타락한 천사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그리스도가 지옥으로 내려가셨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20절 '그 안에서 몇 명, 여덟 영혼만이 물로 구원받았습니다'에서 여덟 명은 노아, 그의 아내, 세 아들과 그들의 아내들이다. 그들은 홍수 중 방주로 피난했고 구원받았다. '물로 구원받았다'는 구절은 홍수를 통해 방주가 지나간 것을 암시하고 베드로는 이를 기독교 세례와 연결시킨다. 방주와 기독교 세례는 둘 다 하나님 구원의 은혜의 표현이다. 

'육체의 더러움을 씻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서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응답입니다(21절)'  세례를 통해서 육체적인 몸이 아니라 영혼을 깨끗하게 한다. 초기 교회에서 세례를 받을 사람들에게 '예수님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한 후에야 세례를 받을 수 있었다. 베드로는 이 구절을 쓸 때 그 과정을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구원은 도덕적 삶이 아니라 예수 부활의 결과이다.

'천사와 권세와 능력이 그에게 복종하고 있습니다.(22절)' 권세와 능력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지만 하나님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될 경우가 많다. 사도 바울은 천국에서 예수님의 지위에 대한 명백한 진술을 하였다. 

  • 9.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를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사 10.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에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11.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 (빌 2:9-11)

----------------------------------------------------

앞 구절과 연결해서 해석해 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속하기 위해 자신의 육은 죽임을 당하고 영은 살리심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노아 시대 때 하나님께 복종하지 않고 (파멸한) 감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하셨습니다. 노아의 홍수를 통해 우리는 구원을 받았듯이 우리는 세례를 통해 구원을 받습니다. 예수님은 하늘에 오르시어 하나님 우편에 계시며 천사와 권세와 능력이 그에게 복종하고 있습니다.' 

'감옥', '노아의 방주', '천사' 등의 단어가 혼동을 주어서 해외 성경 학자의 설명을 참고했는데 이해가 더 어려워진 것도 같습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의 꼬리를 물게 해 주는 누구도 쓸 수 없는 한 편의 거대한 대서사시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