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마의 성경묵상

에스더(Esther) 9:20-10:3(부림절에 대해)

by 미류맘 2025. 5. 22.
728x90

모르드개는 이 모든 일을 기록하고 해마다 '부림절'을 모든 유다인들이 기념하게 명령합니다. 또한 에스더도 이 명절을 확증합니다. 결국 모르드개는 왕 다음으로 높은 사람이 되고 존경을 받게 됩니다.

 

에스더 9:20-32. 부림절 제정에 관한 기록

20. And Mordecai wrote these things and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near and far, who were in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21. to establish among them that they should celebrate yearly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days of the month of Adar,

22. as the days on which the Jews had rest from their enemies, as the month which was turned from sorrow to joy for them, and from mourning to a holiday; that they should make them days of feasting and joy, of sending presents to one another and gifts to the poor.

23. So the Jews accepted the custom which they had begun, as Mordecai had written to them,

24. because Haman, the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the enemy of all the Jews, had plotted against the Jews to annihilate them, and had cast Pur (that is, the lot), to consume them and destroy them;

25. but when Esther came before the king, he commanded by letter that this wicked plot which Haman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should return on his own head, and that he and his sons should be hanged on the gallows.

26. So they called these days Purim, after the name Pur. Therefore, because of all the words of this letter, what they had seen concerning this matter, and what had happened to them,

27. the Jews established and imposed it upon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and all who would join them, that without fail they should celebrate these two days every year, according to the written instructions and according to the prescribed time,

28. that these days should be remembered and kept throughout every generation, every family, every province, and every city, that these days of Purim should not fail to be observed among the Jews, and that the memory of them should not perish among their descendants.

29. Then Queen Esther, the daughter of Abihail, with Mordecai the Jew, wrote with full authority to confirm this second letter about Purim.

30. And Mordecai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to the one hundred and twenty-seven provinces of the kingdom of Ahasuerus, with words of peace and truth,

31. to confirm these days of Purim at their appointed time, as Mordecai the Jew and Queen Esther had prescribed for them, and as they had decreed for themselves and their descendants concerning matters of their fasting and lamenting.

32. So the decree of Esther confirmed these matters of Purim, and it was written in the book.

 

부림일


20.  ○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원근을 막론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23.  유다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29.  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게 지키게 하되
30.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백이십칠 지방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  정한 기간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32.  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하게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개인번역). 20. 모르드개는 이 모든 일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멀든지 가깝든지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에 사는 유대인들에게 모두 편지를 보내어, 21. 해마다 아달월 곧 그 달의 십사일과 십오일을 명절로 지키도록 하였다. 22. 그날은 유다인들이 자기 원수들의 손에서 벗어나 평안을 얻은 날이며, 그 달이 슬픔이 기쁨으로, 애통이 명절로 바뀐 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이틀 동안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명절로 정하고, 서로에게 선물을 주고 가난한 자들에게도 선물을 주는 날로 삼게 하였다. 23. 그래서 유대인들은 모르드개의 말에 따라 자신들이 시작한 이 날을 명절로 지켰다. 24. 모든 유다인의 원수였던 함므다다의 아들 아각 사람 하만은 유대인들을 없애려고 음모를 꾸몄고, '부르'(제비)를 던져서 유다인들을 다 없애려고 했기 때문이다. 25. 그러나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갔을 때, 왕은 조서를 내려 하만의 악한 음모가 하만 자신에게 되돌아가게 하였고, 하만과 그의 아들들을 나무에 매달게 하였다. 26. 그래서 이 날들을 '부림'이라 불렀는데, 이는 '부르'(제비)라는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이 조서의 모든 지의 내용과 그 일을 목격한 것과 자신들에게 일어난 것으로 인하여, 27. 유대인들은 자신들과 자손들, 유대인 공동체에 들어온 사람들에게 모르드개가 조서에 명령한 대로 해마다 정해진 방식과 정한 시기에 따라 이 두 날들을 반드시 기억하고 지키게 하였다. 28. 이 두 날은 대대로, 모든 가정에서, 어느 지방, 어느 성읍에 살든지, 대대로 기억되고 지켜야 하는 날이다. 이틀 동안 계속되는 부림절은 유대인들에게는 거를 수 없는 명절이 되고, 그 기념이 후손들에게서 사라지지 않게 하였다. 29. 아비하일의 딸, 유대인 에스더 왕후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함께 모든 권한을 가지고 부림절에 대해 두 번째로 편지를 써서 부림절을 확증하였다. 30. 모르드개는 평화와 진리의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 왕의 백이십칠 지방에 있는 모든 유대인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31. 그는 이 편지에서 정한 날에 부림절을 지킬 것을 명령하고, 유다인 모르드개와 에스더 왕후가 명령한 바와 같이, 유대 사람들 스스로도 기꺼이 부림절을 명절로 정하고, 그 자손들이 그때가 되면 금식하고 슬피 울면서 지키도록 하였다. 32. 에스더의 명령이 부림절에 대한 일을 확증하였고, 이 일은 책에 기록되었다.

 

(20-28절) 모르드개는 이 모든 일을 기록하여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에 사는 모든 유다인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 날을 '부림절'로 기념하게 하였습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부림절'의 어원인 '부림'이 '부르'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입니다. 부르는 제비로 하나님은 유다인들의 운명을 제비를 뽑아서 결정하셨습니다. 

 

(29-32절): 한편 에스더는 부림절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유다인들 뿐아니라 그들의 자손들도 그날이 오면 금식하고 슬피 울면서 기념하도록 하였습니다. 


에스더 10:1-3. 에필로그: 높임을 받는 모르드래

1. And King Ahasuerus imposed tribute on the land and on the islands of the sea.

2. Now all the acts of his power and his might, and the account of the greatness of Mordecai, to which the king advanced him,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chronicle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

3. For Mordecai the Jew was second to King Ahasuerus, and was great among the Jews and well received by the multitude of his brethren, seeking the good of his people and speaking peace to all his countrymen.

 

왕과 모르드개가 높임을 받다

1.  아하수에로 왕이 그의 본토와 바다 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하였더라
2.  왕의 능력 있는 모든 행적과 모르드개를 높여 존귀하게 한 사적이 메대와 바사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3.  유다인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왕의 다음이 되고 유다인 중에 크게 존경받고 그의 허다한 형제에게 사랑을 받고 그의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며 그의 모든 종족을 안위하였더라

 

(개인번역). 10-1. 아하수에로 왕은 본토뿐 아니라 바다 섬에도 조공을 바치게 했다. 2. 그가 왕의 큰 권세와 능력으로 이룬 모든 업적과, 그가 모르드개를 높여 영화롭게 한 일은 메대와 페르시아의 왕들의 역대지에 기록되지 않았느냐? 3. 유대인 모르드개는 아하수에로 왕 다음으로 높은 사람이 되었다. 그는 유대인들 가운데 크게 존경을 받으며, 그의 형제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는 자기 민족의 유익을 구하고, 그의 모든 동족에게 평화를 말하였다.

에스더서 결말 및 신학적 관찰 요약

A. 모르드개의 승진과 결말 (에스더 10장)

  1. 아하수에로 왕의 통치 영광이 간략히 언급되며 왕국의 번영이 강조됨.
  2. 모르드개는 왕 다음 가는 자리에 오르게 되어, 유대인들의 존경을 받고 민족의 평화를 위해 힘씀.

B. 에스더서에 대한 관찰 및 신학적 해석

1. 하나님의 섭리: 기적 없는 기적

  • 에스더서는 기적이 없이도 하나님의 손길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책입니다.
  • 스펄전 목사는 “기적 없는 경이의 기록”이라 표현하며, 하나님의 영광이 ‘자연스러운 사건’을 통해 드러난다고 설명합니다.

📌 하나님이 배후에서 계획하신 일들:

  • 바스디 왕후의 폐위
  • 에스더의 왕비 선발 참여와 총애
  • 모르드개가 왕궁 일에 개입할 수 있는 위치
  • 유대인 학살까지 11개월의 준비기간이 생긴 점
  • 군대가 아닌 민간인의 손에 의해 유대인이 죽도록 명령된 점 (막기 쉬운 구조)
  • 하만이 즉시 모르드개를 죽이지 않은 인내
  • 에스더가 요청을 일부러 미룬 두 번의 연회
  • 하만의 분노가 절정에 이른 시점
  • 왕의 잠 못 이루는 밤
  • 그 밤에 특정 기록이 낭독되고, 모르드개의 공적이 읽힌 점

이 모든 우연 같아 보이는 일들 속에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2. 인간의 자유의지와 하나님의 섭리는 공존함

  • 하만, 아하수에로, 모르드개, 에스더는 모두 자유롭게 행동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뜻은 정확히 이루어졌습니다.
  • 스펄전: “인간은 자유롭게 행동하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지지만, 하나님은 그 속에서 자신의 계획을 이루신다.

3. 하나님은 때로 고난을 허락하심

  • 모르드개는 하만에게 절하지 않아 민족 전체가 위기에 놓임.
  • 에스더는 민족을 살리기 위해 목숨을 걸고 왕에게 나아가야 했음.
  • 하나님의 계획 안에도 시련과 시험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4. 왕좌 가까이에 있는 중보자

  • 수산에 사는 유대인들은 “왕비가 유대인”이라는 사실만으로도 희망을 품었음.
  • 오늘날 우리도 왕의 보좌 우편에 계신 예수님으로 인해 소망을 가짐.
  • 스펄전: “예수님이 높임 받으셨다는 사실을 기뻐하라.”

핵심 메시지 요약

  • 하나님은 보이지 않아도 일하신다.
  • 인간의 선택과 행동은 중요하다.
  • 고난 속에도 하나님의 목적은 있다.
  • 우리에겐 왕 앞에 계신 중보자 예수님이 있다.

10장 분량의 에스더서는 하나님에 대한 언급이 한 번도 나오지 않고 이 땅을 섭리하시는 하나님을 볼 수 있습니다. 악한 하만을 제거하고 모르드개를 높인 아하수에로 왕의 통치는 영광으로 끝나고 그의 왕국은 번영하게 됩니다. 이 책에서는 '기적'이란 단어는 한 번도 나오지 않지만 하나님의 영광이 자연스러운 사건을 통해 드러납니다 (스펄전 목사 인용).

 

처음에 바스디 왕후가 폐위되고, 에스더가 왕비 선발에 참여하고, 모르드개가 등장하고, 에스더가 새로운 왕후가 되고, 모르드개를 암살하려던 하만이 자신이 판 함정에 빠져 죽게 됩니다. 그리고 잠 못 이루는 밤에 왕에게 모르드개의 공적이 적힌 기록이 낭독되고... 이 모든 일련의 가정에서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되고 있었음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 소스: https://www.youtube.com/watch?v=h-VIZhWkfPc

 

악인은 폐배하고 선인은 승리하였습니다. 슬프게도 이 원리는 우리 세상에서 늘 지켜지는 원리는 아닙니다.  그러나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의 목적이 있음을 인지하고 믿고 행동할 때 우리에게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요? 권선징악(勸惡懲善), 해피엔딩의 에스더를 마칩니다. 오늘 하루도 선한 일을 하고 승리하는 하루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오늘 9장 요약 부분의 번역이 매우 어려워서 자세히 할 수 없었습니다. 오늘 말씀도 Enduringword의 성경해설을 ChatGPT의 도움으로 요약해서 정리했습니다. 

 

 

BIBLIOGRAPHY:
https://enduringword.com/bible-commentary/esther-9/
https://enduringword.com/bible-commentary/esther-10/
개역개정 아래의 볼드체 성경구절 및 추가로 인용된 성경번역은 NKJV 영어성경에 기반한 저의 개인 번역입니다

(한. 영 성경의 여러 버전을 참고하여 번역한 것으로, 오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구절 위 코멘트 중 존칭어의 텍스트는 저의 개인 멘트이고, 청색 텍스트의 반어체는 인용, 번역 및 수정문구입니다.
인용 중 재인용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습니다 (예: 성경, 외국 학자설명)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