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은 한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를 통해서 이 땅에 재물을 쌓지 말고 하나님 나라에 재물을 쌓으라고 명령하십니다. 그리고 하나님 나라를 구하라고 명령하십니다. 우리의 보물이 있는 곳에 우리의 마음도 있기 때문입니다.
누가복음 12:13-15. 물질적인 것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
13. Then one from the crowd said to Him, “Teacher, tell my brother to divide the inheritance with me.”
14. But He said to him, “Man, who made Me a judge or an arbitrator over you?”
15. And He said to them, “Take heed and beware of covetousness, for one’s life does not consist in the abundance of the things he possesses.”
한 부자 비유
13. ○무리 중에 한 사람이 이르되 선생님 내 형을 명하여 유산을 나와 나누게 하소서 하니
14. 이르시되 이 사람아 누가 나를 너희의 재판장이나 물건 나누는 자로 세웠느냐 하시고
15. 그들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 하시고
(개인번역) 13. 무리 중 한 사람이 예수님께 말하였다. “선생님, 내 형에게 유산을 나와 나누라고 말씀해 주십시오.” 14.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이 사람아, 누가 나를 너희의 재판관이나 중재자로 세웠느냐?” 15. 그리고 예수께서 사람들에게 말씀하셨다.
“온갖 탐욕을 주의하라. 사람의 생명은 그가 소유한 물건의 넉넉에 있지 않다.”
내 형에게 유산을 나와 나누라고 (13절): 앞에서 예수님은 우리의 가치가 얼마나 큰지를 가르치셨습니다. 한 사람이 나와서 예수께 자신의 돈 문제에서 자기편을 들어 달라고 요청합니다. 그는 자신의 형이 취한 재산에서 자식의 몫을 요구하고, 그 일에서 예수께서 중재를 하시기를 요청합니다. 그러나,
사람의 생명은 그가 소유한 물건의 넉넉에 있지 않다 (15절): 예수님은 그의 탐심을 지적하시면서 사람의 생명은 그 소유의 풍요함에 있지 않다고 말씀하십니다. 탐욕은 더 큰 탐욕을 부르고 탐욕은 결국 우상숭배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향한 그 사람의 소위 '정의'에 대한 요구는 예수님이 보시기에 탐욕에 불과했습니다.
누가복음 12:16-21. 한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
16. Then He spoke a parable to them, saying: “The ground of a certain rich man yielded plentifully.
17. And he thought within himself, saying, ‘What shall I do, since I have no room to store my crops?’
18. So he said, ‘I will do this: I will pull down my barns and build greater, and there I will store all my crops and my goods.
19. And I will say to my soul, “Soul, you have many goods laid up for many years; take your ease; eat, drink, and be merry.”’
20. But God said to him, ‘Fool! This night your soul will be required of you; then whose will those things be which you have provided?’
21. So is he who lays up treasure for himself, and is not rich toward God.”
16. 또 비유로 그들에게 말하여 이르시되 한 부자가 그 밭에 소출이 풍성하매
17. 심중에 생각하여 이르되 내가 곡식 쌓아 둘 곳이 없으니 어찌할까 하고
18. 또 이르되 내가 이렇게 하리라 내 곳간을 헐고 더 크게 짓고 내 모든 곡식과 물건을 거기 쌓아 두리라
19. 또 내가 내 영혼에게 이르되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고 즐거워하자 하리라 하되
20. 하나님은 이르시되 어리석은 자여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으리니 그러면 네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하셨으니
21. 자기를 위하여 재물을 쌓아 두고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지 못한 자가 이와 같으니라
(개인번역) 16. 그리고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비유를 말씀하셨다. “어떤 부자의 밭이 풍성한 소출을 거두었다. 17. 그래서 그는 속으로 생각했다. ‘내 곡식을 저장할 곳이 없으니 어떻게 할까?’ 18. 그는 또 말하였다. ‘이렇게 해야겠다. 내 곳간을 헐고 더 큰 곳간을 지어 거기에 내 모든 곡식과 재물을 쌓아 두겠다. 19. 그리고 내 영혼에게 말할 것이다. “영혼아, 네가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재물을 쌓아 두었으니 이제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라.”’ 20.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어리석은 자야! 오늘 밤 네 영혼을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준비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21. 자기를 위해 재물을 쌓아 두면서도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지 못한 자가 이와 같다.”
어떤 부자의 밭 (16절): 예수께서 비유로 말씀하십니다. 한 부자가 열심히 노력한 결과로 큰 성공을 이루었습니다. 요즘 같으면 풍성한 소출을 팔아서 은행에 넣으면 되는데, 고대에 은행이었던 곡간이 그 사람에게는 크기가 작았습니다. 그의 미래 계획은 당연해 보입니다. 자신이 노력해서 만든 수익을 더 큰 곳간에 쌓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영원의 관점에서 그는 바보였고, 어리석었고, 죄인이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가진 것이 많아서 걱정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제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라 (19절): 계획대로 큰 곡간을 지어 재물을 쌓은 그는 스스로에게 말합니다. "남은 인생을 평안히 쉬고, 먹고 마시며, 즐기자!"
‘어리석은 자야! (20절): 세상적으로 그는 성공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보시기에 그는 어리석었습니다. 그는 세상의 곡간은 크게 지을 생각만 하고 영생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그의 영혼을 찾을 것(가져갈 것)을 약속하십니다. 그의 영생은 하나님께 속해있기 때문입니다. 주님께서 그의 영혼을 거두시는 날, 그의 재물은 그의 것이 아닙니다. 그는 자신의 부유함을 나누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기를 위해 재물을 쌓아 두면서도 (21절): 하나님은 부자의 비유를 통해 '땅에 재물을 쌓는 자는 하나님께 대하여 부요하지 않다! 는 사실을 선언하십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세상의 가난을 두려워하지 말고 부유함을 두려워해야 함을 배울 수 있습니다.
누가복음 12:22-28. 염려에 대한 경고 vs. 염려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22. Then He said to His disciples, “Therefore I say to you, do not worry about your life, what you will eat; nor about the body, what you will put on.
23. Life is more than food, and the body is more than clothing.”
24. “Consider the ravens, for they neither sow nor reap, which have neither storehouse nor barn; and God feeds them. Of how much more value are you than the birds?
25. And which of you by worrying can add one cubit to his stature?
26. If you then are not able to do the least, why are you anxious for the rest?
27. Consider the lilies, how they grow: they neither toil nor spin; and yet I say to you, even Solomon in all his glory was not arrayed like one of these.
28. If then God so clothes the grass, which today is in the field and tomorrow is thrown into the oven, how much more will He clothe you, O you of little faith?”
목숨과 몸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22. ○또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23. 목숨이 음식보다 중하고 몸이 의복보다 중하니라
24. 까마귀를 생각하라 심지도 아니하고 거두지도 아니하며 골방도 없고 창고도 없으되 하나님이 기르시나니 너희는 새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
25. 또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함으로 그 키를 한 자라도 더할 수 있느냐
26. 그런즉 가장 작은 일도 하지 못하면서 어찌 다른 일들을 염려하느냐
27. 백합화를 생각하여 보라 실도 만들지 않고 짜지도 아니하느니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큼 훌륭하지 못하였느니라
28.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
(개인번역) 22.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목숨을 위해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해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라. 23. 목숨이 음식보다 중요하고 몸은 의복보다 중요하다. 24. 까마귀를 생각해 보라. 그것들은 씨를 뿌리지도 않고 거두지도 않으며, 곳간이나 창고도 없으나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먹이신다. 너희는 새들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 25. 너희 중에 누가 염려하여 그 생명을 한 자라도 더할 수 있느냐? 26. 너희가 가장 작은 일도 못하면서, 어찌하여 다른 일들로 걱정하느냐? 27. 백합이 어떻게 자라는지를 생각해 보라. 그것들은 수고하지도 않고 길쌈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온갖 영화로 차려입은 솔로몬도 이 꽃 하나만큼 차려입지 못하였다. 28. 오늘 들에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께서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를 더 잘 입히지 않으시겠느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
목숨이 음식보다 중요하고 몸은 의복보다 중요하다 (23절): 하나님은 이 세상을 살면서 우리가 염려하는 것들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라 말씀하십니다. "염려한다고 해서 목숨을 조금이라도 늘일 수 없다!" 경고하십니다. 이 염려는 목숨과 몸을 위한 것인데 그것들 보다 목숨과 몸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까마귀... 백합 (24-27절): 산의 까마귀도 먹이시고 들의 백합도 자라게 하시는 하나님이심을 알고, 우리를 그것들보다 더 귀하게 여기시는 것을 알라고 말씀하십니다. 산의 까마귀는 입만 벌리고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일을 합니다. 우리는 일 하지 않고 입만 벌리고 걱정하지는 않을까요? 탐욕과 걱정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둘 다 결코 만족할 줄 모르고 예수님을 바라보지 않습니다. 그리고.
하물며 너희를... 믿음이 적은 자들아! (28절): 들풀도 입히시는 하나님을 믿지 못하는 우리들을 꾸짖으시면서 '걱정하지 말라!' 명령하십니다. 이것은 사랑의 명령입니다. 우리는 들의 들풀도 먹이시는 하나님을 의지하며 우리를 먹이실 하나님을 믿어야 합니다.
누가복음 12:29-34.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라 - 보물이 있는 곳에 마음도 있다!
29. “And do not seek what you should eat or what you should drink, nor have an anxious mind.
30. For all these things the nations of the world seek after, and your Father knows that you need these things.
31. But seek the kingdom of God, and all these things shall be added to you.”
32. “Do not fear, little flock, for it is your Father’s good pleasure to give you the kingdom.
33. Sell what you have and give alms; provide yourselves money bags which do not grow old, a treasure in the heavens that does not fail, where no thief approaches nor moth destroys. For where your treasure is, there your heart will be also.”
29.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하여 구하지 말며 근심하지도 말라
30. 이 모든 것은 세상 백성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이런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아시느니라
31. 다만 너희는 그의 나라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런 것들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32. 적은 무리여 무서워 말라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시느니라
33. 너희 소유를 팔아 구제하여 낡아지지 아니하는 배낭을 만들라 곧 하늘에 둔 바 다함이 없는 보물이니 거기는 도둑도 가까이 하는 일이 없고 좀도 먹는 일이 없느니라
34. 너희 보물 있는 곳에는 너희 마음도 있으리라
(개인번역) 29. "그러므로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찾지 말며 염려하지 말라. 30. 이런 것들은 세상 사람들이 구하는 것이다. 너희 아버지께서는 너희에게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아신다. 31. 다만 너희는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라. 그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여 주실 것이다.” 32. “두려워하지 말라, 작은 무리여. 너희 아버지께서 그 나라를 너희에게 주시기를 기뻐하신다. 33. 너희 소유를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낡아지지 않는 돈주머니를 만들고, 하늘에 없어지지 않는 재물을 쌓아 두어라. 거기는 도둑이 가까이하지 못하고, 좀도 먹는 일이 없다. 34. 너희 보물이 있는 곳에 너희 마음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 (30절): 그래서 세상의 것들(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인 이러한 걱정을 내려놓으라고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그런 것들이 필요한 것은 하나님이 아시고 채워주실 것을 믿으라고 말씀하십니다. 대신,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라 (31절): 우리가 우선적으로 구해야 하는 것은 하나님의 나라임을 선언하십니다. 세상을 살면서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는 것은 큰일이 아닙니다. 집에서는 좋은 가장이 되고, 회사에서는 성실한 직장인이 됨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나라를 구할 수 있습니다.
너희 소유를 팔아 자선을 베풀어라 (33절): 세상을 살면서 재물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재물을 우선순위에 두면 우리는 세상의 온갖 염려에 시달리게 됩니다. 적절히 취하고 나누어 주는 삶을 살 것을 성경은 가르칩니다. 따라서 재물을 세상 쌓지 말고 하늘나라에 쌓을 것을 명령하십니다. 왜냐하면,
너희 보물이 있는 곳에 너희 마음도 있을 것이다
우리의 보물이 땅에 있다면, 세상을 살면서 우리의 염려는 끝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의 보물은 어디에 있을까요?
BIBLIOGRAPHY:
https://enduringword.com/bible-commentary/luke-12/
개역개정 아래의 볼드체 성경구절 및 추가로 인용된 성경번역은 NKJV 영어성경에 기반한 저의 개인 번역입니다
(한. 영 성경의 여러 버전을 참고하여 번역한 것으로, 오역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구절 위 코멘트 중 존칭어의 텍스트는 저의 개인 멘트이고, 청색 텍스트의 반어체는 인용, 번역 및 수정문구입니다.
인용 중 재인용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습니다 (예: 성경, 외국 학자설명)
'엄마의 성경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Luke) 13:1-21(무화과 나무, 겨자씨와 누룩의 비유) (0) | 2025.03.23 |
---|---|
누가복음(Luke) 12:35-48(깨어 준비하라!) (0) | 2025.03.18 |
누가복음(Luke) 12:1-12(제자들이 취할 태도) (0) | 2025.03.16 |
누가복음(Luke) 10:1-24(칩십 인을 보내심) (0) | 2025.03.15 |
누가복음(Luke) 9:51-62(나를 따르려거든) (0) | 2025.03.10 |
댓글